티스토리 뷰

반응형

상속지분 계산 예시 총정리 배우자·자녀·형제 간 정확한 분배 기준
상속지분 계산 예시 총정리 배우자·자녀·형제 간 정확한 분배 기준

 

“부모님 유산, 형제자매랑 어떻게 나누는 게 맞을까요?”
“배우자가 있으면 자식 지분이 줄어들어요?”
“나는 자녀도 없고 부모님도 안 계신데, 누가 상속하죠?”

상속지분 계산은 단순히 나누는 문제가 아니라, 상속인의 유무와 관계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는 법률적 구조를 따릅니다.
이 글에서는 민법상 상속순위와 지분 비율, 그리고 가장 많이 나오는 실제 예시를 통해 누가 얼마를 받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 1. 법정상속 순위 및 상속지분 기본 원칙

상속 순위 상속인  배우자의 상속지분
1순위 자녀(직계비속) 자녀와 동일한 비율
2순위 부모(직계존속) 부모의 1.5배
3순위 형제자매 동일한 비율
4순위 4촌 이내 방계혈족 동일한 비율
없을 경우 국가 귀속 상속인 전무 시

📌 배우자는 항상 공동상속인이며, 단독 상속인은 아닙니다.
📌 유언장이 없는 경우, 위 기준에 따라 법정상속분이 적용됩니다.

📊 2. 상속지분 계산 예시 5가지

💡 예시 1. 배우자 + 자녀 2명

총 상속재산: 6억 원 

상속인 지분 비율 금액
배우자 1/3 2억 원
자녀 A 1/3 2억 원
자녀 B 1/3 2억 원

➡ 배우자와 자녀가 공동상속인일 경우, 균등 분할됩니다.

💡 예시 2. 배우자 + 자녀 3명

총 상속재산: 9억 원

상속인 지분 비율 금액
배우자 1/4 2.25억 원
자녀 A 1/4 2.25억 원
자녀 B 1/4 2.25억 원
자녀 C 1/4 2.25억 원

➡ 자녀가 늘어나면 배우자의 지분도 자동으로 줄어듭니다.

💡 예시 3. 배우자 + 부모 2명

총 상속재산: 1억 2천만 원 

상속인 지분 비율 금액
배우자 6/10 (60%) 7,200만 원
2/10 (20%) 2,400만 원
2/10 (20%) 2,400만 원

➡ 부모가 상속인일 경우, 배우자는 1.5배의 우선 지분을 가집니다.

💡 예시 4. 자녀만 1명 (배우자 없음)

총 상속재산: 5억 원

상속인 지분 비율금액
자녀 단독 100% 5억 원

➡ 배우자가 없고 자녀만 있는 경우, 자녀가 단독 상속합니다.

💡 예시 5. 형제자매만 있는 경우

총 상속재산: 9천만 원

상속인  지분 비율 금액
1/3 3천만 원
동생 A 1/3 3천만 원
동생 B 1/3 3천만 원

➡ 부모, 배우자, 자녀 모두 없는 경우, 형제자매가 동등하게 상속합니다.

📌 참고: 민법 제1000조 상속 순위 정리

1순위: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2순위: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3순위: 형제자매
4순위: 4촌 이내 방계혈족

위 순위 중 상속인이 존재하면, 하위 순위는 상속권 없음

🧭 결론: 상속지분은 단순 나눗셈이 아닙니다

상속은 단순히 “나눠 갖자”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가족관계, 상속순위, 배우자 여부에 따라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이 있고, 이를 무시하면 나중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언장이 없을 경우엔 무조건 법정 상속 비율이 적용되므로, 사전에 유언이나 협의를 통해 분배 기준을 정해두는 것이 가족 간 갈등을 예방하는 지름길입니다.

📌 요약 정리

  • 상속 지분은 민법에 따라 상속인 간 비율이 법으로 정해져 있음
  • 배우자는 항상 공동상속인이며, 자녀/부모와 함께 상속
  • 자녀가 많을수록 배우자의 지분은 줄어듬
  • 유언장이 없으면 법정상속비율이 강제 적용
  • 정확한 지분 계산은 세무사 또는 변호사 상담으로 확인 가능

💬 상속지분 계산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Q 배우자 혼자 모든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나요?

유언장이 없는 경우 법적으로 배우자 단독 상속은 불가능합니다. 자녀, 부모 등 다른 상속인이 있으면 공동상속 지분 비율이 적용됩니다.

Q 자녀가 4명 이상이면 배우자의 상속 지분은 얼마나 되나요?

배우자도 자녀 1명과 같은 비율로 나눕니다. 자녀 수가 많아질수록 배우자의 지분 비율은 줄어들게 됩니다.

Q 유언장이 있으면 법정상속 비율과 달라질 수 있나요?

네. 유언장이 유효하면 유언 내용이 우선 적용됩니다. 다만, 유류분 침해 시 일부 상속인이 반환 청구할 수 있습니다.

Q 결혼하지 않고 자녀도 없는 경우, 상속은 누구에게 가나요?

이 경우 부모, 형제자매, 방계혈족 순으로 상속됩니다. 상속인이 전혀 없을 경우, 국가에 귀속됩니다.

Q 형제자매도 법정상속인이 될 수 있나요?

네. 자녀, 부모 등 상위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만 형제자매가 공동상속인이 되며, 동등한 비율로 나눕니다.

 

반응형